[그래픽뉴스] 격리의무 연장<br /><br />오늘 코로나19 신규 확진자는 7천명대 초반으로 8일 연속 1만 명 미만을 유지했습니다.<br /><br />이처럼 유행이 감소세를 보이는 가운데 정부는 현재의 확진자 7일 격리의무를 4주 더 연장하기로 했습니다.<br /><br />오늘의 그래픽 뉴스, 입니다.<br /><br />오늘 한덕수 국무총리는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에서 코로나19 확진자의 7일 격리의무를 4주 더 연장한다고 밝혔습니다.<br /><br />격리 의무를 전면 해제할 경우 현재의 감소세를 유지하지 못해 재유행을 앞당기고 피해 규모도 커질 수 있다는 우려에 따른 조치인데요.<br /><br />격리의무 전환 여부를 결정짓는 기준은 핵심 지표인 사망자 수와 치명률, 또 보조지표인 유행예측과 초과 사망, 변이 바이러스, 의료체계 대응 역량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해 판단합니다.<br /><br />먼저 핵심지표인 사망자수의 경우 일평균 사망자 10~20명 이하 주간 사망자 50~100명 이하를 기준으로 삼는데요.<br /><br />보시는 것처럼 최근의 주간 사망자 수는 6월 첫째 주 99명까지 내려갔다가 6월 둘째 주 다시 113명으로 늘어나면서 100명을 초과해 기준을 충족하지 못했습니다.<br /><br />전환 기준의 두 번째 핵심 지표인 치명률을 살펴볼까요?<br /><br />치명률의 경우 유사 호흡기 감염병인 인플루엔자를 기준으로 유행이 증가하더라도 격리 등의 강화된 조치 없이 통상적인 치료로 관리 가능한 0.05~0.10%로 정해져 있는데요.<br /><br />5월 기준 코로나19 치명률은 0.07%로 기준치를 달성했습니다.<br /><br />이외 전환 기준의 보조 지표인 유행 예측에선 정해진 기준을 달성하지 못했습니다.<br /><br />유행 예측 기준에 따르면, 격리 준수율이 50% 수준에도 향후 2~3개월간 유행 곡선이 반등하지 않아야 하는데요.<br /><br />지금 상황에서 격리를 해제할 경우 확진자 수가 바로 반등하고 8월 말이 되면 격리의무를 유지할 때보다 확진자가 8.3배 더 많이 발생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<br /><br />질병관리청은 올가을 재유행을 예상하며 하루 최대 감염자 수를 15만 명으로 추산하고 있는데요.<br /><br />중대본은 앞으로 올 하반기 예방접종 시행 이전까지 증가 추세를 최대한 억제해 예방접종 효과를 극대화할 필요가 있다며 현재의 확진자 7일 격리기간을 유지하는 것이 안정적이라고 강조했습니다.<br /><br />다만 방역당국은 앞으로 4주 단위로 상황을 재평가할 예정인데, 평가 전이라도 방역지표가 기준을 충족하면 격리의무를 조정할 방침입니다.<br /><br />지금까지 그래픽 뉴스였습니다.<br /><br />#코로나19 #신규_확진자 #감소세 #7일_격리의무 #4주_연장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